맨위로가기

한국프로농구 2010-1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프로농구 2010-11 시즌은 외국인 선수 자유 계약 제도 도입을 앞두고 안양 KT&G 카이츠가 한국인삼공사에 인수되어 안양 한국인삼공사 프로농구단으로 새롭게 출범했다. 홈 유니폼과 원정 유니폼 색상이 변경되었고, 수비자 3초룰이 강화되었으며, 금지약물 복용에 대한 도핑 검사가 시행되었다. 정규 리그에서는 부산 KT 소닉붐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전주 KCC 이지스가 챔피언 결정전에서 우승했다. 시즌 중 선수 이동과 신인 선수 드래프트, 시범 경기, 정규 리그, 플레이오프, 그리고 다양한 화제와 수상 내역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농구 - 한국프로농구 2009-10
    한국프로농구 2009-10 시즌은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가 전주 KCC 이지스를 꺾고 우승했으며, KT 소닉붐 재창단, 혼혈 선수 최초 참가, 국내 선수 최초 득점왕 등 다양한 기록과 사건들이 발생했다.
  • 2011년 농구 - FIBA 유로바스켓 2011
    FIBA 유로바스켓 2011은 리투아니아에서 24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예선과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스페인이 우승하고 후안 카를로스 나바로가 MVP로 선정되었다.
  • 2011년 농구 - 한국프로농구 2011-12
    한국프로농구 2011-12 시즌은 고양 오리온스 연고지 이전, 외국인 선수 자유계약제 변경, KB국민카드 메인 스폰서 후원 등의 변화 속에서 원주 동부 프로미의 정규 시즌 1위와 안양 KGC인삼공사의 플레이오프 우승으로 마무리되었다.
  • 한국프로농구 시즌 - 한국프로농구 1997
    한국프로농구 1997은 KBL의 출범 시즌으로 용병 제도와 지역 연고제가 처음 도입되었으며,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의 통합 우승, 강동희의 MVP 동시 수상, 제럴드 워커의 KBL 최초 트리플 더블 기록 등 다양한 이야깃거리가 있었다.
  • 한국프로농구 시즌 - 한국프로농구 2006-07
    한국프로농구 2006-07 시즌은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가 정규 시즌 1위와 챔피언 결정전 우승을 차지했으며, 플레이오프에는 오리온스, 삼성 썬더스, KTF, KT&G, 현대모비스, LG 세이커스가 참여했다.
한국프로농구 2010-11
시즌 정보
리그한국프로농구
스포츠농구
기간2010년 10월 15일 – 2011년 4월 26일
중계 방송사KBS, MBC, MBC 스포츠+, SBS 스포츠, OBS, SPOTV
정규 시즌
정규 시즌 우승부산 KT 소닉붐
정규 시즌 MVP박상오 (KT)
득점왕애런 헤인즈 (삼성)
플레이오프
파이널결과
챔피언전주 KCC 이지스
준우승원주 동부 프로미
파이널 MVP하승진 (KCC)
시즌 목록
KBL 시즌 목록KBL
이전 시즌2009–10
다음 시즌2011–12

2. 달라진 점

이 시즌이 끝나고 외국인 선수 자유계약제도로 변경된다. 안양 KT&G 카이츠가 한국인삼공사에 인수되어 안양 한국인삼공사 프로농구단으로 창단되었다. 홈 경기 유니폼과 원정 경기 유니폼의 색상이 맞바뀌어 원정 팀이 흰색 유니폼을 입는다.(모비스는 하늘색) 종전에는 홈팀이 밝은색이나 흰색계열의 유니폼을 입었으나, 올 시즌부터는 홈경기 팀이 각 팀 고유의 컬러유니폼을 입고 경기한다.

수비자 3초룰이 강화되어, 수비자가 공격 선수없이 골밑 페인트존에서 3초 이상 머물 때 공격팀이 자유투 1개를 얻는다. 종전엔 수비자가 이 룰을 인식하고 페인트존 밖으로 나오는 도중일 경우, 심판이 휘슬을 불지 않았지만, 올시즌부터는 의사 표시에 상관없이 3초가 되면 심판이 무조건 휘슬을 불도록 했다.

창원 LG 세이커스마산시, 창원시, 진해시 통합 이후, 처음으로 치르는 시즌이다. 명칭과 홈 경기장은 변화가 없다.

2008~2009 시즌 대마초 사건이 터진 이후, 금지약물 복용에 대한 무작위 도핑검사가 시행되었다. 만일 도핑검사에서 1명당 금지약물 복용이 적발 시, 1회에는 9경기, 2회에는 18경기, 3회에는 54경기 출장정지가 된다. 이는 플레이오프까지 합쳐서 출장정지 되며, 기간이 남을 경우, 다음시즌까지 이어진다. 4회에는 영구제명이 된다.

2. 1. 제도 변화

이 시즌이 끝나고 외국인 선수 자유계약제도로 변경된다. 안양 KT&G 카이츠가 한국인삼공사에 인수되어 안양 한국인삼공사 프로농구단으로 창단되었다. 홈 경기 유니폼과 원정 경기 유니폼의 색상이 맞바뀌어 원정 팀이 흰색 유니폼을 입는다.( 모비스는 하늘색) 종전에는 홈팀이 밝은색이나 흰색계열의 유니폼을 입었으나, 올 시즌부터는 홈경기 팀이 각 팀 고유의 컬러유니폼을 입고 경기한다.

수비자 3초룰이 강화되어, 수비자가 공격 선수없이 골밑 페인트존에서 3초 이상 머물 때 공격팀이 자유투 1개를 얻는다. 종전엔 수비자가 이 룰을 인식하고 페인트존 밖으로 나오는 도중일 경우, 심판이 휘슬을 불지 않았지만, 올시즌부터는 의사 표시에 상관없이 3초가 되면 심판이 무조건 휘슬을 불도록 했다.

창원 LG 세이커스마산시, 창원시, 진해시 통합 이후, 처음으로 치르는 시즌이다. 명칭과 홈 경기장은 변화가 없다.

2008~2009 시즌 대마초 사건이 터진 이후, 금지약물 복용에 대한 무작위 도핑검사가 시행되었다. 만일 도핑검사에서 1명당 금지약물 복용이 적발 시, 1회에는 9경기, 2회에는 18경기, 3회에는 54경기 출장정지가 된다. 이는 플레이오프까지 합쳐서 출장정지 되며, 기간이 남을 경우, 다음시즌까지 이어진다. 4회에는 영구제명이 된다.

2. 2. 구단 변화

안양 KT&G 카이츠가 한국인삼공사에 인수되어 안양 한국인삼공사 프로농구단으로 창단되었다. 홈 경기 유니폼과 원정 경기 유니폼의 색상이 맞바뀌어, 원정 팀이 흰색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울산 모비스 피버스는 하늘색) 종전에는 홈팀이 밝은색이나 흰색 계열의 유니폼을 입었으나, 이 시즌부터는 홈경기 팀이 각 팀 고유의 컬러 유니폼을 입고 경기한다.

수비자 3초룰이 강화되어, 수비자가 공격 선수 없이 골밑 페인트존에서 3초 이상 머물 경우 공격팀에 자유투 1개가 주어지게 되었다. 종전에는 수비자가 이 룰을 인식하고 페인트존 밖으로 나오는 도중일 경우 심판이 휘슬을 불지 않았으나, 이 시즌부터는 의사 표시에 상관없이 3초가 되면 심판이 무조건 휘슬을 불도록 규칙이 변경되었다.

창원 LG 세이커스는 마산시, 창원시, 진해시 통합 이후 처음으로 치르는 시즌을 맞이했다. 명칭과 홈 경기장은 변화가 없었다.

2008~2009 시즌 대마초 사건 이후, 금지약물 복용에 대한 무작위 도핑검사가 시행되었다. 도핑검사에서 금지약물 복용이 적발될 경우, 1회에는 9경기, 2회에는 18경기, 3회에는 54경기 출장정지가 되며, 이는 플레이오프까지 합쳐서 적용된다. 기간이 남을 경우 다음 시즌까지 이어지며, 4회 적발 시에는 영구제명된다.

3. 선수 이동

3. 1. 자유 계약

부산 KT 소닉붐의 신기성은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로, 원주 동부 프로미의 표명일은 부산 KT 소닉붐으로 이적했다. 울산 모비스의 김효범은 서울 SK로, 서울 SK의 박성운은 부산 KT로 이적했다. 대구 오리온스의 김용우는 창원 LG로, 서울 삼성의 박훈근은 대구 오리온스로 이적했다.

3. 2. 트레이드

3. 2. 1. 시즌 전

3. 2. 2. 시즌 중

인천 전자랜드의 아말 맥카스킬과 대구 오리온스의 오티스 조지가 트레이드되었다.

3. 3. 영입


  • 옥범준(안양 한국인삼공사→서울 SK)
  • 박규섭(창원 LG→인천 전자랜드)
  • 손준영(원주 동부→서울 SK)
  • 박범재(창원 LG→원주 동부)
  • 노경석(서울 SK→울산 모비스)
  • 전병석(안양 한국인삼공사→부산 kt)
  • 원하준(안양 한국인삼공사→원주 동부)

3. 4. 신인 선수 지명

wikitext

2010년 1월 27일에 실시된 2011년 KBL 국내 신인선수 드래프트는 예년과 달리 대학 졸업 예정자와 함께 2, 3학년 재학생 9명도 조기 참가하였다.

4. 시범경기

2010년 10월 4일부터 10월 8일까지 시범경기를 진행했다. 이번 시즌은 최초로 한 팀에서 원정경기를 2개, 홈 경기를 2개 가지는 팀이 있는데, 원정경기 2개는 창원 LG, 홈 경기 2개는 부산 kt이다. 창원 LG는 10월 6일에 열리는 전국체전으로 인해 홈 경기를 가지지 못했다. (홈 경기장이 전국체전 핸드볼 경기장으로 사용)

5. 정규리그

순위경기승률승차타이브레이커
1부산 KT 소닉붐5441130.759
2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5438160.7043
3전주 KCC 이지스5434200.6307
4원주 동부 프로미5431230.57410
5창원 LG 세이커스5428260.51913
6서울 삼성 썬더스5427270.50014
7서울 SK 나이츠5420340.370215–1
8울산 모비스 피버스5420340.370211–5
9안양 KGC5416380.29625
10대구 오리온스5415390.27826



서울 SK 나이츠는 울산 모비스 피버스와의 타이브레이커에서 5승 1패로 앞서 7위를 기록하였다.[1]

6. 플레이오프

전주 KCC 이지스는 2010-11 시즌 플레이오프에서 서울 삼성을 3-0,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를 3-1, 원주 동부를 4-2로 꺾고 통산 5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6강 플레이오프에서는 동부가 LG를 3-0으로, KCC가 삼성을 3-0으로 각각 이겼다. 4강 플레이오프에서는 동부가 KT를 3-1로, KCC가 전자랜드를 3-1로 꺾고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했다.

7. 시즌 화제

인천 전자랜드는 혼혈인 드래프트에서 문태종을 뽑았으며, 조상현-조동현 형제, 이승준-이동준 형제에 이어 문태종-문태영 형제대결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2010년 아시안 게임으로 인해 일정이 늦어졌으며, 일부 구단은 국가대표 차출로 인해 대회 전 전력 손실을 겪기도 했다. 아시안게임에서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은 중화인민공화국에게 아쉽게 지며 은메달을 획득하였는데, 이는 아시안게임 최초의 남녀 동반 은메달 획득이었다.

kt의 제스퍼 존슨은 2010년 11월 7일 LG전에서 버저비터를 성공시켜 팀을 역전승으로 이끌었다. SK의 손준영은 2011년 1월 14일 도핑검사에서 금지약물 복용으로 9경기 출장정지 징계를 받았다. 2011년 1월 25일 LG-모비스 경기에서는 모비스 송창용 선수의 버저비터에 대한 오심 논란이 있었다. KBL은 오심을 인정하고 해당 심판들에게 3주 출장정지 징계를 내렸다.

2011년 2월 11일 전자랜드-동부 경기에서는 양 팀 합산 최저 점수인 101점(49:52)을 기록했으며, 전자랜드는 올 시즌 한 경기 팀 최소 득점(49점)으로 패배했다. kt의 전창진 감독은 애플사의 아이패드로 작전지시를 하여 국내 스포츠 사상 최초로 전자기기를 이용해 작전지시를 한 감독이 되었다. SK는 2011년 2월 24일 동부와의 경기에서 전반 18점, 최종 33점 차 패배라는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세웠다. kt는 정규리그 최다승인 41승 13패로 정규시즌 우승을 기록했다.

8. 수상

2010-11 시즌 챔피언 결정전 우승 팀인 전주 KCC 이지스는 챔피언 상금과 정규 시즌 3위 상금을 합하여 총 1억 3천만 원을 받았다. 정규 시즌 1위 팀인 부산 KT 소닉붐은 1억 원을, 챔피언 결정전 준우승 팀인 원주 DB 프로미는 5천만 원을 받았다. 정규 시즌 2위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역시 5천만 원의 상금을 받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